MongoDB 특징

  • 10gen 사에서 개발한 솔루션 (C++)
  • key-value와 다르게 여러 용도로 사용이 가능 (범용적)
  • 스키마를 고정하지 않는 형태
    • 스키마 변경으로 오는 문제 없음
    •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json형태로 저장 (데이터를 key-value화 하여 저장)
  • join이 불가능 하기에 join이 필요 없도록 데이터를 설계해야 함
  • 메모리 맵 형태의 파일 엔진 DB이기 때문에 메모리에 의존적이다.
    • 메모리 크기가 성능을 좌우
    • 메모리를 넘어서는 경우 성능이 급격히 저하됨
  • 쌓아놓고 삭제가 없는 경우가 적합
    • 로그 데이터
    • 이벤트 참여 내역
    • 세션
  • 트랜잭션이 필요한 금융, 경제, 빌링, 회원정보 등에는 부적합

도큐먼트 데이터 모델

  • 속성의 이름과 값으로 이루어진 쌍의 집합
  • 속성은 문자열이나 숫자, 날짜 가능
  • 배열 또는 다른 도큐먼트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함
  • 하나의 도큐먼트에 필요한 정보를 모두 담아야 함
  • one query로 모두 해결이 되게끔 collection model을 설계해야 함
  • join이 불가능하므로 미리 embedding 시켜야 함
  • 데이터 설계를 종이문서 설계하듯 설계해야 한다.

도큐먼트 형태의 구조


JSON

  • JavaScript Object Notation
  • lightweight data 교환 형식
  • 사람이 읽고 쓰기 쉽고, 기계가 파싱 하고 생성하기 쉬움
  • JavaScript의 Array 문법으로 데이터 구조를 기술하는 방법으로 XML이 가지는 유연성과 구조적 데이터 표현 기능을 확보하면서, XML이 가진 오버헤드를 줄이는 방법으로 사용
  • 클라이언트에서 처리 퍼포먼스가 높음
  • XML이 표현하는 구조적인 정보 모두 표현 가능
  • 송수신 데이터로 XML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훨씬 빠르고 간편하다.

JSON 표기법

  • 각 객체는 중괄호 {}로 시작하고 끝난다.
  • 문자열과 값으로 구성되어 있고 콜론 : 으로 구분한다.
  • 각 멤버들은 콤마 , 로 구분한다.
  • 값은 object, string, number, array, true, false, null 사용 가능
  • 문자의 경우에는 따옴표를 사용하고, 숫자의 경우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는다.
  • 배열의 경우 대괄호 [] 로 시작하고 끝나며 각 값은 콤마 , 로 구분한다.


MongoDB의 장단점

MongoDB의 장점

  • schema-less 구조
    •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저장 가능
    • 데이터 모델의 유연한 변화 가능 - 데이터 모델 변경, 필드 확장 용이
  • Read/Write 성능이 뛰어남
  • Scale Out 구조
    • 많은 데이터 저장 가능
    • 장비 확장이 간단함
  • JSON 구조 - 데이터 직관적 이해 가능
  • 사용방법이 쉽고 개발이 편리함

MongoDB의 단점

  • 데이터 업데이트 중 장애 발생 시, 데이터 손실 가능
  • 많은 인덱스 사용 시, 충분한 메모리 확보 필요
  • 데이터 공간 소모가 RDBMS에 비해 많음 - 비효율적인 key 중복 입력
  • 복잡한 JOIN 사용 시 성능 제약이 따름
  • 트랜잭션 지원이 RDBMS 대비 미약함
  • 제공되는 MapReduce 작업이 Hadoop에 비해 성능이 떨어짐

빅데이터 처리 특화

  • Memory Mapped (데이터 쓰기 시 OS의 가상 메모리에 데이터를 넣은 후 비동기로 디스크에 기록하는 방식) 사용
  •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 가능
  • OS 메모리를 활용하기 때문에 메모리가 차면 하드디스크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속도가 급격히 느려짐
  •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투자 필요

MongoDB 불안정성

  • 데이터의 양이 많을 경우
    • 일부 데이터 손실 가능성 존재
    • 샤딩(분산 저장) 의 비정상적인 동작 가능성
    • 레플리카(복제) 프로세스의 비정상 동작 가능성

MongoDB vs Mysql

  • MongoDB와 Mysql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가지고 CRUD를 수행할 때,
    대부분의 결과가 MongoDB가 빠르게 나옴
  • MongoDB의 경우, Single Node와 Multi Node 간에 성능 차이는 거의 없음
    Delete 연산을 제외하고 대부분 Multi Node가 근소하게 빠름
  • MongoDB Multi Node의 Insert 연산 중 연산 실패가 일어나는 경우 발생
  • 분산을 목적으로 한 DBMS 선택할 경우, RDBMS에 비해 낮은 비용과 빠른 성능을 제공하는 
    MongoDB가 유리함

MongoDB vs MS SQL Server 2008

  • 쓰기 작업 성능 비교 : MongoDB가 100배 이상 빠름
  • 읽기 작업 성능 비교 : MongoDB가 평균 3배 이상 빠름
  • 읽기/쓰기 동시 작업 성능 비교 : 역시 3배 이상 빠름

MongoDB 주요 기능

MongoDB Query

  • C (Create)
    • db.person.save({'name':'jhon'});
  • R (Read)
    • db.person.find();
  • U (Update)
    • db.users.update([name:'johnny'}, {name:'Cash',languages:['english']});
  • D (Delete)
    • db.users.remove({name:'Sue'});

MongoDB 인덱스

  • 다수 인덱스 설정 가능
  • 복합 인덱스 지원
  • 빠른 검색 지원
  • 도큐먼트에 저장된 데이터와 중복 저장 문제
  • 메모리가 부족한 시스템에서는 검색 속도 저하 문제

MongoDB 복제

  • Master-Slave 구조 구성
  • 데이터 복사본을 Slave에 배치
  • Master 장애에 따른 데이터 손실 없이 Slave 데이터 사용 가능
  • Master 장애가 발생했을 때, Slave에서 Master를 선출 가능 (중단 없는 서비스 가능)
  •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널링 지원 (MongoDB의 데이터 변화에 따른 모든 연산에 대한 로그 적재) 

MongoDB 샤딩

  •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
    • 소프트웨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분산시켜 처리하는 구조
  • 샤딩 방식
    • 데이터베이스가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을 테이블 단위로 분리하는 방법
    • 데이터베이스가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 자체를 분할하는 방법
  •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전통적인 분할 3 계층 구조 지원
    • 응용 계층 , 중개자 계층 , 데이터 계층
    • 응용 계층은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중개자를 통해 모든 데이터의 입출력을 처리
    • 추상화된 한 개의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는 것처럼 운용


MongoDB 맵리듀스

  • 대용량의 데이터를 안전하고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방법
    • 데이터를 분산하여 연산하고 다시 합치는 기술
    • 맵과 리듀스 단계로 나누어 처리하며, 사용자가 임의 코딩 가능
    • 입출력 데이터는 key-value 형태로 구성
  • 한 대 이상의 하드웨어를 활용하는 분산 프로그래밍 모델
    • 분산을 통해 분할된 조각으로 처리한 다음, 다시 모아서 훨씬 짧은 시간에 계산 완료
  • 대용량 파일에 대한 로그 분석, 색인 구축 검색 등에 활용
  • 일괄처리 방식으로 전체 데이터 셋을 분석할 필요가 있는 문제에 적합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