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프링 부트가 다루는 영역
- 애플리케이션 개발 관련의 거의 모든 영역을 다루고 있다.
- 스프링을 쉽게 쓰기 위해 제공해주는 툴
빌드 | * 프로젝트 생성 * 의존성 관리 * 애플리케이션 패키징 및 실행 |
코딩 | * 개발 툴 제공 * 자동 설정 * 외부 설정 |
배포 및 관리 | * 도커 이미지 생성 * Actuator * 스프링 부트 어드민 |
프로젝트 생성
- 디렉토리, 소스파일, 리소스 파일 만들기
- 빌드 툴 (Maven, Gradle) 이 필요로 하는 폴더 구조를 스프링 부트 스타터가 자동으로 만들어줌
- SNAPSHOT은 개발 중인 버전, M2 버전은 미리 공부하는 사람들용
의존성 관리
- 프로젝트에 필요한 의존성 쉽게 관리하기
- 버전을 적지 않았는데 어떻게 스프링 버전 5.* 가 의존성으로 들어와 있을까
- 메이븐의 <parent>, <DependencyManagement> 그리고 <properties>를 활용한 의존성 관리
- pom.xml 에 버전을 정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의존성이 잘 적용됨
- pom.xml 에 상속이 적용되어 있다.
- pom의 부모 파일에 가장 최신 버전이 명시되어 있으므로 생략 가능
- 스프링 부트가 관리하지 않는 라이브러리들은 버전을 명시해야 한다.
애플리케이션 패키징 및 실행
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
mvn spring-boot:run
- 스프링 부트 메이븐 플러그인 사용
- 메이븐을 사용해서 실행한다.
- IDE 없이 바로 실행
- Maven -> Plugins -> spring-boot -> spring-boot:run 클릭
- 콘솔 실행
main 클래스 실행
- 가장 평범한 자바 애플리케이션 실행
- IDE를 사용하여 실행한다.
JAR 패키징 & java -jar
- 스프링 부트 플러그인을 사용해 특수한 실행 가능한 형태의 JAR 파일을 만들 수 있다.
- 서버에 배포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한다.
- Maven -> LifeCycle -> package 클릭 / 소스 및 모든 라이브러리가 들어감
- 콘솔에서 java -jar uwahan-spring-boot-0.0.1-SNAPSHOT.jar 으로 애플리케이션 실행
'Back-end > 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프링 부트 웹 서비스 개발 (0) | 2021.07.14 |
---|---|
스프링부트 프로젝트 만들기 (0) | 2021.07.12 |
스프링 부트 소개 (0) | 2021.07.09 |
스프링 부트 - 배포 및 관리 (0) | 2021.06.16 |
스프링 부트 - 코딩 (0) | 2021.06.15 |